경향신문

대입 유리한 동아리 활동도 특목고가 일반고 2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대입 유리한 동아리 활동도 특목고가 일반고 2배

입력 2013.04.08 09:05

특수목적고의 학생 동아리 참여율이 일반고의 약 2배에 달해 비교과 활동에서도 고교 유형에 따른 격차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리 활동은 입학사정관제 등 수시 전형에서 유리한 ‘스펙’이어서 결국 대입 실적으로 이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지난해 4월 기준 학생 동아리 참여율을 보면 서울지역 9개 특목고(외고·국제고·과학고)는 102.1%, 26개 자율형사립고는 77%, 198개 일반고(2012년 신설교 제외)는 54.9%로 집계됐다.

평균 학생 동아리 참여율이 특목고는 일반고의 1.9배, 자사고는 일반고의 1.4배로 일반고에서 상대적으로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이 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75개교 평균 51.2%) 등을 포함한 작년 서울시내 모든 고교(316개교)의 평균 학생 동아리 참여율은 56.5%였다.

지난해 서울 모든 고교를 통틀어 학생 동아리 참여율이 가장 높은 학교는 세종과학고(182%)였다. 2개 이상의 동아리에서 활동한 학생도 상당수라고 볼 수 있다.

자사고 가운데 동아리 참여율이 가장 높은 하나고(149.4%)는 개설된 동아리 수도 70개에 달한다. 학생들에게 폭넓은 분야에서의 활동 기회가 열려 있는 셈이다.

이런 교육환경에 힘입어 하나고는 올해 서울대 입시에서 수시 기준으로 특목고를 제외한 전국 단일 고교 중 가장 많은 합격자(43명)를 냈다. 서울대는 올해 수시모집 전체를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했다.

일반고 중에도 동북고(117.6%), 한국삼육고(115.8%), 개포고(114.3%), 상명고(104.2%) 등은 웬만한 특목고나 자사고보다도 학생 동아리 참여율이 높았다.

그러나 전체 일반고 가운데 절반이 넘는 109개교(54.8%)가 학생 동아리 참여율이 50% 미만이었다. 공시한 동아리 참여율이 50% 미만인 학교 수가 자사고는 6개교, 외고·국제고·과학고는 1개교에 그쳤다.

교내 동아리 활동은 입학사정관제 등 수시전형의 비중이 커진 대입 환경에 유리한 ‘스펙’ 중 하나다. 창의력, 리더십, 적극성 등을 보여 줄 수 있어 추천서나 자기소개서에 녹여낼 수 있는 이야기도 풍부해진다는 평가다.

이 같은 입시제도의 변화와 맞물려 전국 고교의 학생 동아리 참여율은 2010년 36%, 2011년 47.3%, 지난해 52.7%로 꾸준히 올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