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남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전두환 정권 시절이던 1986년 대통령 비서실에서 행정사무관으로 파견근무를 하면서 국민정신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기획 및 조정 업무 등을 수행한 공로로 대통령 근정포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유기홍 민주통합당 의원이 서 후보자로부터 제출받은 인사청문 요청자료를 보면, 서 후보자는 1986년 12월16일, 85~86년 국민정신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기획 및 조정 업무를 수행하고, 81·82년 문교부 주요업무계획 수립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근정포장을 받았다. 당시 정부부처에서 대통령 근정포장을 받은 공무원은 서 후보자를 포함해 45명이었다.
서 후보자는 80년 5월 행정사무관으로 문교부에 발령받은 뒤 80년 9월4일부터 82년 5월25일까지 문교부 기획관리실 기획예산담당관실에서 일하면서 81·82년 주요업무계획 수립 업무를 담당했다. 85년 8월9일부터 전두환 정권 말기인 88년 1월26일까지는 대통령 비서실에서 행정사무관으로 일했다.
전두환 정권에서 이뤄진 국민정신교육은 각급 학교 국민윤리·국사 등의 교과서 개편작업, 교육공무원에 대한 이념교육 등을 포함하고 있다. ‘국민정신교육 정책회의’를 통해 반공·질서교육 등이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점검했다. 서 후보자가 작성에 참여한 ‘82년도 문교부 주요업무계획’은 ‘체제대결에 있어서 자신감을 고양하기 위한 통일안보교육의 철저’ 방안으로 초·중·고 교사는 물론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연수를 하는 방안, ‘반공 영웅 이승복 얼 선양사업’ 추진 등을 담고 있다.
유기홍 의원은 “정부 요직을 거치면서 전두환 정권의 국민정신교육 및 반공이데올로기 강화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에서 어떤 방식으로 정책을 추진할지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서 후보자 쪽은 “공무원은 그 시기에 주어진 국정이념을 실현하는 것이 책무다. 책무를 충실히 이행해 훈·포장을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진 김지훈 기자 ji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