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2.25 화 15:22
상단여백
HOME 모터사이클 스페셜
영국 모터사이클 브랜드의 국내 공식 진출, 트라이엄프 코리아 출범 발표
  • 라이드매거진 편집부
  • 승인 2018.06.20 15:51
  • 댓글 0

트라이엄프는 올해 116주년을 맞이한 영국의 모터사이클 제조사다. 2017년 회계연도 기준 오버 500cc 이상 중/대형 모델 기준으로 63,116대의 모터사이클을 판매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브랜드다.

국내에는 공식 수입업체가 요원한 관계로 그간 널리 알려지지 않았으나 유럽 및 전 세계 시장에서는 저명한 모터사이클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모터사이클 제조 역사가 길고 전통이 깊어 관계자나 소유자는 특유의 정체성에 관한 자부심이 강하다. 레트로 라인업은 물론이고 강력한 성능과 현대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하는 로드스터나 어드벤처 모델 라인업도 탄탄하다.

어느 것 하나 빠질 것 없는 브랜드가 국내에서는 유독 힘을 쓰지 못했지만, 올해부터는 이야기가 달라질 전망이다. 영국 트라이엄프 본사와 공식 수입원으로서 국내 유통 및 총판 계약을 체결한 ‘트라이엄프 코리아’의 이름으로 정식 수입/판매를 진행하게 됐기 때문이다.

이에 올해 초 발족된 트라이엄프 코리아는 모터사이클 관련 미디어를 초청해 정식 출범을 알렸다. 이들은 간담회 형태의 자리를 통해 트라이엄프 모터사이클 영국 본사의 지향점인 ‘For The ride'를 한국 라이더들 또한 충실히 경험해 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트라이엄프 모터사이클은 1905년 모터사이클 엔진을 제작하면서 역사를 시작했다. 한동안 많은 양의 군수 모터사이클을 제작했으며 50~60년대에는 무비 스타 말론 브란도(Malon Brando)가 탄 썬더버드(Thunderbird) 모터사이클이 영화에 등장하는 등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또 스티브 맥퀸(Steeve McQueen)이 영화 속에서 1961년형 TR6를 타고 탈출하는 명장면은 아직도 거론되고 있을 정도다.

일반에 알려진 영화 속 모델 뿐 아니라 최근에는 전매특허인 독특한 필링의 고성능 3기통 엔진, 안정화된 품질 등으로도 호평받는 중이다. 한편 세계적 모터사이클 로드레이스인 Moto2(미들클래스)에 독점으로 3기통 엔진을 공급하는 업체로 선정되어 성능과 내구력을 입증하고 있다.

누구나 금방 느낄 수 있는 영국 특유의 음영 짙은 색채감을 드러내는 독특한 스타일도 트라이엄프 모터사이클을 잘 나타내는 요소다. 또한 다양한 장르를 모두 커버하는 제품 구성력도 훌륭하다. 이들 라인업은 모던 클래식, 로드스터, 크루저와 어드벤처 장르까지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하루빨리 트라이엄프 모터사이클을 경험하고자 하는 국내 라이더를 위해 트라이엄프 코리아는 앞으로 숨 가쁜 일정을 진행할 전망이다. 트라이엄프 코리아는 소비자들이 직접 모터사이클을 만져보고 경험할 수 있도록 현재 강동구 길동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건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적으로 이들은 7월 초 정식으로 브랜드 런칭쇼를 갖고, 현 모토쿼드 사옥 1층에 트라이엄프 코리아 팝업 스토어를 열어 라이딩 시즌을 맞이한 라이더들의 갈증을 다소 해소해 줄 예정이다. 이들은 예약 판매는 팝업스토어를 통해서도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으며,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은 약 10월경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한편 바이크코리아와 모토쿼드의 업무 제휴도 실시했다. 양사는 라이딩 어패럴 브랜드 알파인스타, RS타이치와 트라이엄프 코리아 비즈니스에 대해 상호 협력을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업무협약식을 계기로 브랜드 홍보 및 모토피스타, 모토 페스티벌에 관해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모터사이클 문화 저변 확대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모토쿼드는 알파인스타, RS타이치의 브랜드 홍보를 제공하게 되며, 모토쿼드가 진행하는 모토피스타, 모토 페스티벌에 바이크코리아가 연간 행사 지원품에 대한 공급과 행사 참여 지원을 하기로 했다. 또한 현 모토쿼드 사옥 2층에는 알파인스타와 RS타이치 판매 쇼룸을 구축해 상호 공동이익 증진을 도모하기로 했다.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트라이엄프 코리아 출범과 동시에 이를 함께 견인해 갈 수 있는 다양한 파트너쉽이 시작되고 있다. 트라이엄프의 브랜드 가치는 대내외적으로 공인하는 수준이므로 걱정할 것이 없다. 하지만 국내 각 지역 특성에 따른 환경에서의 브랜딩이 어떻게 구축될지, 또 수도권 중심으로 구성된 현재의 수입 모터사이클 시장 판매 환경에 트라이엄프 브랜드는 어떤 방향으로 홍보 및 판매 전략을 세울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한다.

한편 이미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다양한 브랜드의 모터사이클과 견주어, 가장 중요한 소비자들은 새롭게 경험하는 트라이엄프 모터사이클의 여러 가지 라인업을 어떻게 판단하고 평가할지 또한 궁금해진다.

<저작권자 © 라이드매거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라이드매거진 편집부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