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생단편영화의 제작비 절감을 위한 제작방식에 대한 연구 : 단편영화 <Day For Night>을 중심으로

        채희재 청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3880191

        학생 단편영화는 짧은 제작기간, 적은 제작인원으로 촬영이 가능한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저렴한 제작경비로 영화제작을 하는 것이 학생단편영화의 특징이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관객들이 영화를 바라보는 시각이 전문화되고 이에 따라 촬영 장비 및 모든 영화제작 환경의 최신화로 인해서 제작 기간은 길어지고 스텝의 수는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서 제작비는 천정부지로 올라갔다. 다양한 소재와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단편영화 안에서 작은 제작비로 인해 발생하는 기술적 한계들은 학생들의 완성도 높은 창작 욕구를 채워주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나 이런 기술적 한계들은 촬영 장비와 편집장비의 간편화되고 전문화된 시스템에 의해 많은 부분 해소 되었다. 그리고 요즘 단편영화의 추세는 프로덕션의 단계의 중요성이 중심이었던 과거와는 달리 포스트 프로덕션의 과정이 더욱 부각되어서 프로덕션 단계에서 해결하지 못한 부분을 후반작업에서 많은 부분 해결해 가고 있다. 현재 수많은 극영화들이 HD 및 3D 촬영방식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그 결과 HD 기반의 영화가 기존의 필름방식의 화질에 비해 크게 뒤떨어 지지 않는 기술적 진보로 인하여 디지털영화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HD는 기존 대학영화의 기본제작방식이었던 16mm 필름방식이나 DV방식에 비하여 제작기간의 단축이라는 장점과 뛰어난 화질로 인하여 대학영화의 HD제작방식 수용을 활성화 시켰으며 실제로 2004년 이후 HD를 기반으로 한 대학영화들이 많이 제작되고 있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학영화에서 HD는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영화제작에서 중심이 되는 HD카메라의 이해부족과 기술력 부재 등으로 대학영화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도 사실이다. 본 논문은 학생단편영화 제작과정에 있어서 효율적인 진행 및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영화제작과정의 전반적인 과정인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서의 실제로 어떠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는지 단편영화 <Day For Night>를 중심으로 기술하였고 HD카메라의 효과적인 활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대학영화의 촬영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그리고 후반 작업과정에서 편집프로그램인 Magic Bullet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후반 작업을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로 학생 단편영화 제작과정에서 절대적인 위치로 차지하고 있는 제작비의 절감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겠다.

      • 단편 영화의 서사 구조와 시각적 연출 관계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수후이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뉴미디어 기술 시대에 단편영화가 ‘새롭게 주목받으면서’ 인터넷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가 단편영화에 관심을 갖고 영화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단편 영화의 편리한 재생 형식, 짧은 길이, 흥미로운 주제가 현대인의 수용 심리, 시간 스케줄과 잘 부합된다. 이에 따라 단편영화의  발전 전망이 갈수록 나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단편영화 창작의 서사 구조와 시각적 연출을 종합하여 필자가 창작한 작품을 분석하고 사람들에게 전달한다. 단편영화의 서사 방식과 시각적 연출에 대한 분석 연구는 단편영화의 발전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서사 이론, 시각적 연출 기법과 필자가 창작한 작품을 결합한 방식을 활용하게 된다면 본 논문은 더욱 실천적 의미를 가지며 연구 가치가 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4개의 장으로 나누어 단편영화의 서사 구조와 시각적 연출 기법을 연구하였다. 제1장 서론은 단편영화 연구의 필요성과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해 논하였다. 제2장은 4가지 주요 서사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장에서 4가지 주요 서사 구조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필자가 만든 작품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했다. 제3장은 단편영화의 시각적 연출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필자가 만든 단편영화 작품을 통해 인물의 감정표현, 화면의 색채, 화면의 구성, 영상 속 음악 처리 등 4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제4장은 앞에서 분석한 연구의 서사 구조와 시각적 연출 기법의 내용을 종합하고 단편영화의 발전 추세와 미래 동향을 제시했다. 이처럼 단편영화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발달로 각종 인터넷 사이트에서 단편영화가 유행하면서 상업 분야와 공익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단편영화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영향력은 단편영화를 창작하는 자들의 열정을 자극했고, 단편영화를 찍는 개인 작가와 팀도 많아졌다. 하지만 기본적인 제작 절차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단편영화의 질이 들쭉날쭉하다. 본 논문에서는 필자가 직접 제작한 단편영화 작품을 중심으로 단편영화 작품의 서사적 구조와 시각적 연출 방법을 분석하여 단편영화의 중요한 구성 부분을 알려주고자 한다. In the era of new media technology, short films have emerged, rapidly occupying an important position on the Internet. Many experts became interested in short films and began filming. The convenient way of broadcast of short films, short and interesting themes fit well with modern people's acceptance psychology and time schedules. As a result, the path of development of short films is getting better.   This study analyzes the works created by researcher by summing up the narrative structure and visual production of short film creation. It analyz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visual directing techniques in researcher's work and delivers them to people. Analyzing and studying the narrative style and visual production of short films is important to the development of short films. It is of higher practical significance and research value to combine narrative theory, visual performance techniques and the author's works.   This paper studi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visual performance of the four elder short films. Chapter 1 Introduction analyzes the need for short film research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2 analyzed four main narrative structures. The chapter presented definitions of each of the four important narrative structures and explained them in more detail through the works I created. Chapter 3 analyzed the visual production of short films. Through researcher short film work, Analyzed the character's emotional expression, color of the screen, composition of the screen, and music processing in the video. Chapter 4 summari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previously analyzed research and the contents of visual directing techniques and presented the development trends and future trends of short films.

      • 단편영화 <나의 마키트 여정> 제작 연구 : 타이완 단편영화 제작 방식에 대한 대안을 중심으로

        홍우신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본 연구는 연구자가 영화 프로듀서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며, ‘감독 중심제’의 단편영화 제작방식 외의 대안적 제작방식의 가능성을 탐구하려 한다. 이에 연구자는 타이완과 미국에서 제작한 단편영화 <나의 마키트 여정(Maquette 1:1000)>의 제작과정을 사례로 프로듀서가 직접 참여하고 관찰하는 방식으로 그 제작방식을 탐구,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네 가지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프로듀서 역할과 개별적인 제작방식을 탐구하여 앞으로 단편영화 제작팀의 참고가 되기 바란다. 둘째, 본 연구는 프로듀서에 관한 학술적 연구 자료로써 학계에서 영화 프로듀서를 연구하는데 문헌자료를 제공한다. 셋째, 각각 제작사례에 따른 제작 인력의 구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영화 제작과정에 경영학 기반의 제작관리 개념을 도입하여 효율을 높이고 질을 유지하려 한다. 학생과 전문 인력이 성공적으로 협력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실습을 통한 경험에 대한 검토와 건의를 제안한다. 넷째, 프로듀서 역할과 제작방식이 상대적으로 획일화된 타이완의 영화산업에 다른 가능성을 제공하려 한다. 관련 문헌에 대한 검토와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타이완의 단편영화 제작방식은 대부분이 감독을 중심으로 구조화되고, 기타 인원들은 감독의 지시에 지원하는 역할만 하는 ‘감독 중심제’를 위주로 하고 있다. 연구자가 선택한 개별사례 <나의 마키트 여정(Maquette 1:1000)>은 감독이 연출과 대본을 전담하고, 프로듀서는 법무와 재무 그리고 배급 및 마케팅을 관리하는 제작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대다수의 ‘감독 중심제’ 방식의 제작사례와 비교할 때, 각각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다른 제작 사례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영화제작은 위험성이 높고, 비용이 많이 들며, 각각 사례에 따라 유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타이완의 대부분 영화 제작방식처럼 개인적 주관이 고착화된 제작방식과 개선의 의지가 희미한 현상에서는 실패와 도태의 운명을 벗어나지 못한다. 반드시 창작의 목적을 고려하고 적합한 제작방식을 맞춰야만 영화산업으로의 기대와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 연구 사례인 <나의 마키트 여정(Maquette 1:1000)>의 제작과정을 통해, 실험제재로서 ‘프로듀서와 감독 분업제’의 제작방식을 적용하였고, 그에 따른 발전적 대안책으로 경영이론에서 사용하는 제작관리 개념을 활용한 ‘MEED 단편영화 제작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MEED 단편영화 제작방식’은 단편영화 제작의 목적에 따라 목표 관객층을 설정하고, 제작과정 중 끊임없이 조정하여 관객의 기대에 부합하는 문화상품으로서의 영화를 제작하기 위한 대안적 방식이다. ‘MEED 단편영화 제작방식’의 구체적 개념은 관리자(Manager), 실천자(Executer), 경험자(Experienced people)와 몽상가(Dreamer)로 대변되는 제작구성원들의 특성을 중심으로 하는 역할 분배와 순환적인 소통 구조 그리고 상호 학습을 통하여 창작목적과 의도에 더욱 가깝게 다가가는 효율적이며 합리적인 단편영화 제작방식이라는 점에 위치한다. This thesis derives from the researcher’s interest in the role of “film producer” and attempt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utside the auteur-centered mode of short film production. Reviewing the past studies conducted by other researchers, the thesis finds that the discourse surrounding “producer” is quite scarce, and none of the research papers is written on the basis of practical participation in film production. Overall, the first-hand materials dedicated to the research of production modes is severely deficient. Therefore, I have chosen a case of short films Maquette 1:1000, as the basis of my research in short film production modes. The thesis purpose to reach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of all, probing the role of the producer and the production modes in these two films, in order to provide references for future Taiwanese short film productions; second, conducting a preliminary research concentrating on the role of film producer, as part of the reference literature for related fields; last but not least, hoping that the thesis will contribute to the possibilities of other production modes in the relatively-homogeneous film industry in Taiwan. This thesis evaluates the strengths, drawbacks, and feasibilities of the “auteur-centered,” “labor division of artistic creation and administration,” and the “producer’s team” modes, and co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film production as high-risk, high-budget, and case-specific. Therefore, any subjective, self-indulged or rigid, inflexible production modes are doomed to fail. The suitable and sustainable production mode should consider the original intention ad purpose of the creative project. In conclusion, the survey proposes a conceptual short-film production mode “MEED,” which includes four essential components: Manager, Executer, Experienced people and Dreamer. This mode is defined as audience-oriented based on the communicative purpose of producing short films, through which the creative process is constantly adjusted to meet the audience’s standards. Accompanied with the circular communication and mutual learning of these four essential roles, the mode can ultimately culminate in successful short-film projects that comply with both the creative purpose and the audience’s expectations.

      • 효과적인 이미지표현을 위한 촬영구상(具象)에 관한 연구 : 단편영화 <가려움>을 중심으로

        서동기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단편영화는 상영 시간의 길이가 짧은 영화다. 따라서 단편영화의 역사는 영화 초창기에 이미 시작되었고 그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 시대와 지역에 따라서 다양한 형식의 단편영화가 존재하게 된 것은 영화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단편이라는 시간적 제약이 있지만 표현의 자유와 주제를 담는 형식, 두 가지 측면에서 실험성, 도전 정신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소재, 동일한 주제의 이야기도 장편 영화와 비교하여 표현 방법과 제작방식이 확연히 다르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영화란 매체가 탄생한 순간부터 현재까지 끊임없이 단편영화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고, 더불어 한국영화계에서 한동안 하나의 흐름이었던 장편영화로의 진출을 위한 습작으로 인식되었던 단편영화가 현재는 그 실험성과 도전정신, 주제를 담는 형식에 대한 차별성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 단편영화는 장편영화의 축소판이 아닌 단편영화의 그 시적 매체로서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역할에 충실해지고 있다. 또한 단편영화의 도전 그 자체만으로 감정을 창조해 내지는 못하지만, 시나리오의 문맥 속에서 적합하게 활용 될 때 감정의 증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다름 아닌 촬영이다. 그것은 단순하게 카메라의 기계 장치를 활용한 테크닉일 수도 있고, 색감과 빛의 처리와 같이 주로 조명과 관련된 요소일 수도 있다. 그동안 촬영에 관한 다양한 서적과 논문이 출간되어 왔지만 대부분 기술적인 설명에 치우치거나 원론적인 수준으로만 다루어져 온 것이 사실이다. 특히 아쉬웠던 점은 실제 작품을 토대로 촬영감독이 감정표현을 위해 어떠한 촬영스타일을 구사했는지 구체적인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본 영화의 제작보고서는 단편영화에 제작과정을 살펴보고 실제 단편영화에서의 이미지 표현을 위한 촬영방식이 표현되어지는 과정에 중점을 둘 것이다. 단편영화 <가려움>은 탈북여성인 주인공의 심리에 따라 새로운 공간이 형성되고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주인공의 내.외적인 감정상태가 극으로 치닫는 작품이다. 이러한 단편영화의 이야기 구조 속에서 어떠한 촬영방식을 접목시켰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해보고자 한다. 또한, 시행착오라고 생각되는 점들을 솔직하게 밝힘으로써 단편영화를 찍는 영화학도들에게 더 나은 개선방향의 토대를 제시하며 이에 따른 토론의 여지를 남겨놓고자 한다. 작업주체에 따라 단편영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편영화 제작과정을 통한 다양한 촬영구상연구를 통해 시각적인 영상화에 대한 그 과정별 중요성과 실례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단편영화<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제작 연구: 감독의 역할을 중심으로 : 감독의 역할을 중심으로

        박민서 중원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3880191

        우리나라의 영화 시장은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을 만큼 성장했다. 몇몇 작품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며 해외로의 판권 수출을 통해 외국의 관객들에게 보이고 있다. 장편영화와 마찬가지로 단편영화도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활발히 제작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작품의 질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저명한 영화제에 출품을 하여 그 명성을 인정받은 수 많은 작품들도 좋은 작품이라 말할 수 있는 점이 있지만, 영화제를 통하지 않더라도 제작되어지는 수 많은 작품들 중, 탄탄한 스토리라인과 플롯, 촬영 및 조명, 편집, 배우의 연기 그리고 이 모든 것을 포함한 예술성이 얼마나 잘 드러나 있는가에 따라 단편영화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 이렇듯 작품으로써의 가치를 인정받아 대중에서 선보일 수 있는 작품의 수는 그리 많지 않지만 장편상업영화가 아닌, 단편영화시장에 비추어 보면 그만큼 기본적인 완성도가 있는 단편영화여야 상대적으로 상영될 가능성이 더 높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런 작품은 소수에 불과하고 대다수의 작품들은 상영과 배급의 기회를 갖지 못한다. 현재 영화시장의 흐름상, 장편상업영화의 경우, 상업성(수익성)을 인정받지 못하면 제작을 할 수 없는 형편이고, 제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원활한 배급을 위해서는 대형 배급사를 통해서 국내외의 스크린에 상영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독립단편영화의 경우를 살펴보면 독립·단편영화를 상영할 수 있는 환경은 장편상업영화와 비교했을 때 배급의 문제, 상영관의 부족, 관객들의 무관심 등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완성도 높은 단편영화를 제작하기 위해선 감독으로서 어떤 부분을 더욱 신경써서 제작하여야 하는가? 하는 의구심을 들게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진행하게 된 이 연구는 실제로 단편 영화를 제작하고, 제작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실제적인여러 가지 경우들을 체계화 시키고 구체적으로 기록하면서 단편 영화 제작에 있어 조금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작을 연구하는 것을 중점으로 두었다. 특히 시나리오, 컨셉, 콘티뉴이티, 미술, 캐릭터 구축 및 연기의 분야에 있어 영화 감독의 역할을 중심으로 어떤 부분을 어떻게 조율하고 통솔해야 더욱 효과적인 제작이 될 수 있는지 본 연구자는 연구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영화의 다양한 장르 중 조금 더 사실적인 표현에 비중을 두고 있는 드라마 장르를 선택하여 단편영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가 보여주고자 한 극한의 상황에 놓인 인간은 선택의 기로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가에 대한 주제적인 측면과 이를 사실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드라마 영화의 장르적 특성이 영화 안에 복합적으로 잘 나타나도록 시도하였다. 본 논의는 단편영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를 통해 단편영화 제작을 위한 모든 부분에 있어 드라마라는 장르를 이용하여 사실적으로 다가가고자 노력했고 그러한 노력의 결과물들은 영화에 깊이감을 부여하였다. 또한 전체 컨셉에 맞는 진행은 관객에게 마치 그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어 감정을 동화시키고, 인물에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수많은 장르의 단편 영화를 제작하고자 하는 감독들에게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단편영화 <舞>의 제작과정 연구 : 감독의 역할을 중심으로

        리징웨이 청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마이크로 혁명 <마이크로 혁명이 오고 있다>(microrevolution), 자료유형 단행본, 발행사 서울, 1993,P3 ”은 이미 이 시대의 가장 뚜렷한 문화 상징이 되었고, 우리 역시 명백하게 “마이크로 시대 <새로운 시대의 권력, 마이크로 파워>, 저자 천홍안 천수신 주즈창, 역자 신노을 ,미래의창 2018.01.31. P2 ”에 접어들어 마이크로 단편영화, 마이크로 블로그, 마이크로 소설, 마이크로 인터뷰 등 텍스트 형식이 계속해서 등장하여 부지불식간에 우리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 중 마이크로 영화는 리듬이 빠른 현대의 산물로써 많은 제한에서 벗어난 그 자체의 특색으로 거대한 시장 잠재력을 드러내고 있다. 단편영화 <舞>는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지만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두 개의 특수 집단을 표현했으며, 그들은 바로 학교 직원의 자녀인 학생과 특기생이다. 단편영화 <舞>는 특기생과 학교 관계자 학생의 관계를 통해 중국 사회의 한 모습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촬영한 영화의 프리 프로덕션(pre-production), 프로덕션(production), 포스트 프로덕션(post-production) 등 3 부분에서 단편영화 <舞>의 촬영 과정을 세밀히 분석하였다. 프리 프로덕션에서는 본 연구자의 창작 과정, 시나리오의 일부 정보와 기획 의도, 시나리오 그리고 주제 등을 소개하였다. 그 외에 제작팀이 촬영 시 환경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선정했는지에 대해 설명하였고, 구체적인 촬영 장소는 상구사범대학교이며 해당 스토리의 원천은 상구사범대학교 학생들 사이에서 실제 벌어진 사건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이다. 또한 이 스토리는 제작팀 구성원이 대학교를 다닐 때, 이미 대부분 경험했던 일로써 실제적인 체험을 토대로 한 내용이다. 또한, 특기생이라는 특수한 신분이 중국 사회에서 점점 사라지고 있기 때문에 이 단편영화를 통해 특기생과 특기생의 역사에 관심을 갖도록 만들고자 하였다. 프로덕션부분에서는 주로 모든 장면과 화면의 응용 그리고 조명의 세팅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였고, 모든 화면이 담고 있는 의미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주인공 이예의 장면 내용 분석, 스토리보드 분석, 배우의 트레이닝 등이 포함된다. 포스트 프로덕션 부분에서는 편집과 편집 시 직면했던 문제들과 그 해결 방법에 대해 분석 및 서술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으로 포스트 편집 과정, 편집 스타일, 색 보정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본 논문을 통해 단편영화 <舞>의 제작 과정뿐만 아니라 이 작품을 통해 중국 사회가 특기생에 대한 관심을 갖게 만들고자 하였다. " Micro-Revolution " has already become one of the most prominent cultural symbols of our time, and we are also clearly entering the " Microspo-era " era, where the short film, the microblog, the microsperview continues to appear. Among them, microfilm is a modern product with fast rhythms, breaking away from many limitations and showing huge market potential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The short film, " Musk, " describes two special groups that people already know but don't pay much attention to : school officials (the children of school staff) and students. The short film " Musk " wants to show specific Chinese society through the relationship of special students and school officials.

      • 단편영화 <거짓말>제작과정 연구 : 단편영화에서 '반전' 서사를 중심으로

        류첸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3880191

        1895년 뤼미에르 형제(Auguste & Louis)가 영화를 발명하였을 때 영화단편영화의 형식으로 등장하였지만, 영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화의 시간도 계속 길어졌으며, 현재 대부분의 장편영화의 러닝타임은 일반적으 로 한 시간 반 이상 소요된다. 뉴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단편영화라는 예 술 형식은 다시 한 번 활력을 되찾으며, 연구자는 뉴미디어 시대에 등장 한 우수한 단편영화와 졸업영화로 제작한 <거짓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례 분석과 문헌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단편영화에서 반전서사의 사용과 역할을 연구하였다. 반전(Plot Twist)은 캐릭터 반전, 시점 반전과 줄거리 반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단편영화에서 이 세 가지 반전 형식의 조합 을 통해 인물 이미지를 묘사하고, 서사 리듬을 제어하며 관객의 영화 관 람 흥미를 자극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단편영화에서 시나리오에 반전 서사 방식을 활용하여 영화적 재미와 미학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 동 시에 연구자는 빈번한 반전서사의 사용 경계, 반전을 위해 반전을 사용하 는 현상, 그리고 반전의 혁신 문제 등 반전서사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많 은 문제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마지막 부분에서 단편영화 <거짓말>의 극본 창작 과정을 상세히 기술한다.

      • 국제 단편영화제의 도시문화적 의의와 발전 전략 연구 : 프랑스 클레르몽페랑 국제 단편영화제를 중심으로

        수징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3880191

        본 연구는 국제영화제의 문화적 역할과 도시발전을 결합하여, 프랑스 클레르몽페랑 국제단편영화제를 대표로 하는 내륙공업도시가 국제단편영화제라는 세계적 문화행사의 창설과 발전을 통해 도시이미지를 재창조하고 지역문화수준을 향상시키며 클레르몽페랑의 국제적 이미지와 평판을 높이는 것을 연구함으로써, 국제영화제가 도시이미지 구축과 도시부흥 측면에서 가지는 중요한 역할을 탐구하였다. 국제영화제의 문화적 임무 관점에서 도시이미지와 문화활동의 관계를 탐구한다. 국제영화제는 도시이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수단이며 도시개성을 조성하는 핵심요소와 내용이다. 국제영화제의 개최는 도시의 위상과 긍정적 도시이미지 조성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문화적 시야를 넓히고 도시 문화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개최도시 또한 영화제 발전을 위해 풍부한 문화, 인력, 공공 등의 자원을 제공하며, 도시는 국제 단편영화제와 그 운영방침을 도시 전체 문화체계의 유기적 부분으로 간주 한다. 많은 영화제가 도시 이름으로 명명되며, 영화제의 발전을 위해 그들의 명확하고 독특한 브랜드 이미지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며, 지방정부는 다양한 문화정책을 펼치고 이를 영화제의 지속발전과 결합한다. 국제 단편영화제의 존재와 발전을 연구함으로써 영화제와 도시 간의 상호의존 관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문화예술이 도시에 미치는 영향을 재조명하며, 영화제의 임무와 깊은 영향을 더욱 분명히 돌아볼 수 있다. 국제단편영화제의 문화발전 전략 관점에서 보면, 높은 예술성을 지닌 문화활동의 한 형태로서 단편영화제의 혁신성과 선구성은 도시발전을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시문화발전, 문화산업 활성화, 도시문화의 소프트 파워 제고 등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 단편영화제의 목표와 위치설정을 바탕으로 평가체계, 관심환기, 신뢰구축, 국가이미지 조성 등 다양한 문화메커니즘 구축 전략을 정리 분석하고, 중국과 한국 단편영화제의 문제점을 반성함으로써 동아시아 영화제의 미래 문화발전 전략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tegrates the cultural objectives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with urban development,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inland industrial cities exemplified by the Clermont-Ferrand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in France. The aim is to redefine the citys image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an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as a significant global cultural event. This endeavor seeks to elevate the level of regional culture, boost the international standing and reputation of Clermont-Ferrand, and investigate the pivotal role played by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 the transformation and revitalization of urban landscap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mandate of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e aim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a citys image and its cultural activitie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serve as crucial platforms for showcasing a citys image an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shaping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Not only do such events enhance the citys reputation and create a positive image, but they also broaden citizens cultural horizons and foster cultural diversity within the city. As the host city, it provides abundant cultural, human, and public resources to facilitate the festivals development. The city views the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and its operational concept as an integral component of the entire cultural system of the city. Many film festivals bear the name of their respective cities. To establish a clear and distinctive brand image for the festival, the local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cultural policies in conjunction with the festivals ongoing growth in order to analyze the existence and progression of the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By elucidating the interdependence between the festival and the city, reevaluating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nd art within the city, and offering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festivals mission and profound impact, we can ascertain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of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s, as a highly artistic cultural activity, possess an innovative and forward-looking nature. These festivals have the potential to offer novel ideas and directions for urban development, promote urban culture, foster the growth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enhance the soft power of urban cultu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lign the goals of the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with the strategies for constructing various cultural mechanisms, such as the evaluation system, cultivating attention, building trust, and enhancing national image. It is imperative to reflect upon the challenges faced by short film festivals in China and Korea and provide thoughtful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of the East Asian Film Festival.

      • 단편영화 배급방식이 관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우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매년 단편영화 제작 편수가 증가하고 영화를 소비할 수 있는 배급 및 상영 방법이 다양화되면서 영화 소비 창구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급속한 변화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는 미미한 게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단편영화 배급방식이 관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및 설문조사를 활용한 실증분석 두 가지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단편영화 배급방식을 오프라인(영화관, 영화관 외), 온라인(TV, PC, 모바일)으로 구성하고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단편영화 관람 경험이 있는 10대 이상 50대 이하 남녀 관객 350명을 대상으로 11일간 온라인으로 진행했으며, 이 중 유효표본 302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모형을 통해 도출한 ‘단편영화 배급방식에 따라 관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 모두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채택되었다. 둘째, 단편영화 관람 실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단편영화에 대한 정보는 대체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얻고 스토리를 우선해 주로 혼자서 1년에 1~3회 정도 단편영화를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편영화 배급방식에 따라 관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화관의 경우 영화관 외(복합문화공간, 카페 등)나 온라인 매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객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단편영화를 관람하는 관객 만족도가 높을수록 추천의도, 재관람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단편영화 배급방식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관객을 공략하는 전략 분석에 대해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디지털 기술 발전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지금 이 시간에도 소비자에게 다양한 영화 소비 창구가 계속해서 추가되고 있기에, 다양한 배급방식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ovie consumption channels are rapidly changing as the number of short films produced each year and the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 and screening methods to watch moves are increasing, however, detailed research on such rapid change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hort film distribution method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Two methods of research analysis using survey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research included topics of short films, short film distribution methods, audience satisfaction, and behavi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to verify the study theory based on the measured factors from previous research stud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or 11 days for 350 male and female audiences, and of these, 302 effective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o deri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oth of the hypothesis that ‘the short film distribution method will affect audience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and ‘satisfac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 intention’ were adopted after being verifie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When analyzing the status of watching short films, information about short films seemed to be obtained through the internet and people tended to focus on the story and watch the short films alone about 1 to 3 times in a given year. The analysis of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audience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based on th distribution method of short fil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se of a movie theater, audience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were relatively higher than places outside of a movie theater (integrated cultural space, coffee shops, etc.) or an online media. Lastly,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audience satisfaction on behavior intention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audience’s satisfaction with short films, the higher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re-watching the fil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hort film distribution in Korea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strategy analysis, targeting the audiences. As various movie consumption channels continue to be added even at this moment due to the improv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extensiv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various distribution methods must continue moving forward.

      • 단편영화 <찬영이의 소풍> 제작보고서 : 프로듀싱을 중심으로

        지혜숙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본 논문은 단편영화 <찬영이의 소풍>의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단편영화 제작에서 프로듀서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통해 단편영화 제작과정에서의 프로듀서의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막연하게 관행적으로 적용해 오던 단편영화에 있어 프로듀서의 작업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분석적으로 접근하여 이에 대한 비판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디지털 기기의 보편화, 개인화로 인해 독립영화제작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독립영화 혹은 단편영화들에 대한 작업이 활발해졌으나, 제작방식은 여전히 감독 중심적이고, 스텝 개개인에 대한 역할 분담, 특히 프로듀서에 대한 역할 분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편영화의 제작 시스템을 안정시키고 무엇보다 감독과 프로듀서의 독립적이고 구체적인 역할 분담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방식의 효율성을 고취시키고 나아가 영화적 완성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대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위에서 제기한 문제들에 대하여 영화 <찬영이의 소풍>의 제작과정을 구체적 사례로 들어 논하며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서, 단편영화 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화 <찬영이의 소풍>은 입양과 파양 이라는 소재를 통해 한 인간으로서 존중받지 못하고, 가정속의 질서에 편입되지 못한 채 결국 ‘타자’로 버려지는 이야기로서 현대사회에서의 가족과 개인의 의미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영화이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6월까지의 총 제작기간을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의 세 단계로 나누어 프로듀서의 입장에서 기술하고, 이를 통하여 단편영화 내에서의 프로듀서의 역할에 대한 문제제기와 그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독립영화 제작의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독립영화 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hort film ‘The Picnic of Chan Young’, and its purpose is based on considering the producer’s role and definition through concerning the fundamental identity of a producer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in the short film.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suggests a critical alternative, analytically about the producer’s tasks because usually a producer’s task is regarded as vague and conventional one. Recently, as generalization and personalization of digital production equipments, it is more convenient to produce independent films and short films; however, most of them are director’s oriented films. In other words, the other staffs do not take their parts, efficiently even though the role of a producer is a very significant part as one of the commanders in film production process. In this case, it is essential to divide definite roles between the director and the producer in order to reconstruct a proper system in production process in short films. In addition, there is no doubt that it could increase the efficiency for each role and it contributes the completion of short films. This thesis deals with the issues which mentioned above as analyzing detailed cases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hort film, ‘The Picnic of Chan Young’ and proposes a critical alternative in order to assist production of shorts films. The short film, ‘The Picnic of Chan Young’ treats the social issues such as ‘Adoption’ and ‘Breaking off relations’. The main character in not able to adapt himself to the existed family rules, and he is abandoned as a stranger. The film questions the meaning of individual and family in the modern society. From May 2006 to June 2007, all the processes of production, which is divided as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are fully performed. This thesis proposes to ask what the fundamental role of producers in shorts film is and how they perform for the quality work. In addition, it suggests the alternative ways to formalize better independent film production circum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