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스승의 날… 존경받는 선생님들] “보이지 않아도 마음으로 가르치면 더 잘 이해”

[15일 스승의 날… 존경받는 선생님들] “보이지 않아도 마음으로 가르치면 더 잘 이해”

입력 2012-05-15 00:00
수정 2012-05-15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배대식 시각장애인 수학 교사

“우리가 학생이었던 때를 생각하며 학생들에게 마음으로 다가가야죠.”

배대식 교사
배대식 교사
강원 춘천시 명진학교의 배대식(44) 교사는 시각장애인 수학 교사다. 초·중·고교 전 과정을 맹학교에서 공부한 수학 교사는 전국에 5명뿐이며 이 중 3명이 배 교사의 제자다. 서울 한빛맹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는 안승준(31)씨는 “꺾일 뻔한 꿈을 펴게 한 참스승”이라고 그를 기억했다. 교권이 무너졌다는 한숨이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지만 명진학교 학생들은 그를 존경한다.

그는 “교사들이 학창 시절 가졌던 고민과 어려움을 생각하며 학생들을 대하면 신뢰가 조성될 것”이라면서 “이것이 사제 간의 정을 만들고 교권을 세우는 길”이라고 말했다. 권위는 이해에서 나온다는 견해다. 특히 교사가 된 제자들에게 그는 아직도 멘토다. 100여명에 불과한 맹학교 출신 교사 중 그가 가르친 사람만 10명이 넘는다. 단순 노동 말고는 다른 직업을 찾기 힘든 장애 학생들에게 새 길을 보여준 것이다.

시각장애 학생에게 수학을 가르치기란 쉽지 않았다. 그는 “비장애인이 손으로 푸는 방정식을 우리 학생들은 모두 암산해야 하기 때문에 더 힘들다.”면서 “하지만 재능 있는 학생을 만나면 힘이 난다.”고 말했다.

어릴 적 시력을 잃은 배 교사는 부산맹학교에서 초·중학교 시절을 보내고 서울맹학교에서 고교 과정을 마쳤다. 이후 대구대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한 뒤 1996년부터 서울맹학교에 터를 잡았다.

배 교사는 학생들을 위해 아침·저녁 시간에 따로 가르쳤으며 방학 때도 무료로 보충 수업을 했다.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가르치느냐는 세상의 의구심에 대해 그는 “보이지 않아 학생들을 더 잘 이해한다.”면서 “필요한 것은 눈이 아닌 마음”이라고 담담하게 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05-1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