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혜경 바람막이' 부산시교육청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직원들 동원 "대가성 옷 아니다"… 업무는 뒷전

부산시교육청이 '옷로비'로 검찰 수사를 받게 된 '임혜경 교육감 살리기'에 조직적으로 나섰다. 부산시교육청 교육기획과장, 사무관 등은 지난 25일과 26일 업무시간 중 부산지역 2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임혜경교육감 원스트라이크아웃 촉구 부산시민대책위원회'소속 단체들을 개별 방문해 "교육감이 앞으로 잘 할 테니 이해해 달라"는 요지의 '해명 릴레이'를 펼쳤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뼈를 깎는 마음으로 반성하겠다'던 교육감이 교육청 공무원들을 동원해 부산시민대책위에 대한 '각개격파'를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다.

교육기획과 직원들은 참교육학부모회 부산지부,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부산YMCA 등을 잇달아 방문해 "교육감이 옷을 받았지만 대가성은 없다"는 등의 같은 내용의 해명을 되풀이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지난주 부산시민대책위원회에 '해명 자리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지만 시민대책위가 거절하자 각 단체 개별 전화, 방문에 나선 것이다. 시민대책위 소속 한 단체 관계자는 "교육공무원이 업무는 뒷전인 채 교육감 개인 비리 방어에 나서 교육청의 신뢰마저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교육청 내부에서도 비판이 일고 있다. 시교육청 한 관계자는 "교육청 정책에 관한 일이라면 모를까 교육감 개인 비리 문제에 왜 교육청이 공동 대응해야 하나"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교육청 해당 과장은 "(단체들을) 일부러 방문한 게 아니라 우연히 만나 이해가 부족한 부분에 대한 이해를 도왔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시민대책위는 소속 단체 회원 1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감사원에 교육감 비리 감사를 곧 청구할 예정이다.

한편 전교조 부산지부는 27일 성명을 내고 '경찰 수사 결과를 보면 축소 수사 의혹이 있다'며 '검찰은 교육감의 비리를 보다 철저히 조사해 법의 심판을 받게 하라'고 촉구했다.

강승아·노정현 기자 seung@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