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청소년들이 욕설을 배우게 되는 주된 경로가 대부분 친구와 대중매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가족부가 국무회의에서 보고한 지난해 전국 초중고생 1,260명 대상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이 욕설을 배우게 되는 경로 가운데 47%가 '또래 친구'였고 40%가 '대중매체'로 나타났습니다.
대중매체 가운데서도 인터넷의 영향이 26%로 가장 컸고, 다음이 영화로 10%, 그 다음으로 TV가 4% 순을 차지했습니다.
또 조사 대상 청소년의 73%가 매일 한 차례 이상 욕설을 한다고 답해 욕설 사용 빈도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욕설을 사용하는 동기는 특별한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류환홍 [rhyuhh@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여성가족부가 국무회의에서 보고한 지난해 전국 초중고생 1,260명 대상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이 욕설을 배우게 되는 경로 가운데 47%가 '또래 친구'였고 40%가 '대중매체'로 나타났습니다.
대중매체 가운데서도 인터넷의 영향이 26%로 가장 컸고, 다음이 영화로 10%, 그 다음으로 TV가 4% 순을 차지했습니다.
또 조사 대상 청소년의 73%가 매일 한 차례 이상 욕설을 한다고 답해 욕설 사용 빈도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욕설을 사용하는 동기는 특별한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류환홍 [rhyuhh@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