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0년째
같은 회사를 다니고 있습니다



   NEXON 신규개발 3본부 1실 devCAT 김충효
김충효
   KIM CHOONG HYO


    2001년
     넥슨 입사
       :
    2010년
신규개발 3본부 1실 부실장
   마비노기2 팀장

   11월 12일 결혼
한 조직에서만
사회생활 10년차
    devCAT 에서 죽…
  10년째 마비노기 제작 중.
거의
초등학교 + 중학교
  다닌 기간
  3년만 더 다니면 고졸…
10년 동안의
직무 변화?
Noob 캐릭터 모델러
   애니메이터
   배경 모델러
    월드 빌더
 이펙트 아티스트
   캐릭터 리거
 테크니컬 아티스트
   아트 디렉터
테크니컬 아트 디렉터
 아트 직군 위원장
10년 동안의
일의 변화?
실무
동료들의 작업 검수
  스케줄 관리
  개발 통합
 파이프라인 개선
   팀원 교육
   팀원 평가
    상담
    면접
10년 동안의
직책 변화?
수습
정사원
 주임
유닛장
파트장
부실장
 팀장
10년 동안의
입장 변화?
일을 받아서   직접 하는 입장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아서


         !

             지시하기도 하는 입장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아서


         지시하기도 하는 입장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아서

             지시하기도 하고
         !

             검수도 하는 입장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아서   지시하기도 하고


         검수도 하는 입장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거나    지시하기도 하고



!             검수도 하는 입장
    일을 만들어서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거나    지시하기도 하고
     Now …


일을 만들어서   검수도 하는 입장
일을 받거나   ?     직접 하기도 하고
                             ?

                             ?
    ?          지시하기도 하고

일을 만들어서
                 ?
               검수도 하는 입장
아직은 고작 10년이지만…


나름대로는 급격한
  변화를 경험
하는 일과 입장, 위치…
   등의 변화를 통해서
동료들과의 관계도 변화함
이전의 내 포지션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많았음
              거꾸로,
   바라보던 포지션에서 직접 일을 해볼 기회도 많았다.
돌아 보니
불필요했던 것 들
퍼포먼스에 대한 자책감
   슬럼프가 왔나… 도저히 일이 손에 안 잡히는데,
 아아… 내가 왜 이럴까. 내가 이것밖에 안 되는 것일까.
  내 실력이 생각보다 떨어져서 다들 날 싫어하겠지?

   슬럼프가 과연 누군가에게 혼나야 하는 일인가?
   자기 관리가 중요하지만 누구에게나 기복은 있다.
    우리는 생각보다 동료의 슬럼프에 관대하다.
   그리고, 대부분은 일의 난이도 예측 실패가 원인
자책감으로 어두운 오라를 풍기지 말고 긍정적인 방향을 찾자.
나의 부재에 대한 불안감
    내가 없을 때 업무에 이상이 생기면 어쩌지?
책임지고 미리 싹 준비한 뒤에 자리를 비워야 하는 것 아닌가?
         돌아와서 욕먹으면 어쩌지?

        당신이 없어도 의외로 괜찮다!!
       내가 없어도 일 잘만 된다(되더라).
        그리고, 자리 비운지도 모른다…
 내가 없어서 안 될 일은 적당히 준비해서 진행될리도 없다.
일이 나의 전부
일이 잘 안되면 내 인생이 글러먹은 것 같은 기분이 든단말이야…

    프로젝트 헌신도가 낮아 보이는 팀원에 대해서
      불필요한 적개심이 생기는 수도 있다.
 나이를 먹으면서 생각이 바뀔 경우 혼란을 겪을 수도 있다.
   (사람은 사회생활 시작한 뒤로도 계속 철이 든다.)
전부 내 손으로 만든 것 만이
     내 작품이다라는 강박
       “내 손이 닿지 않은 것은 내 ‘작품’이 아니야.”
“비록 팀으로 일 했지만 이 게임은 내가 만든 게임이라고 할 수는 없지.”

          자신감의 결여가 원인일 수 있다.
        작업자간 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혼자서 150% 하는 사람보다
      모두가 20%씩 더 효율을 낼 수 있게 하는 사람이
             조직에 더 도움이 된다.
직책 타이틀 욕심
  왜 나보다 늦게 들어온 사람이 직책자가 된 것이지?
     회사가 보상을 잘 안 해주는 것 같다…

    직책은 조직 내에서의 역할을 의미하는 것이지
        높낮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직책 타이틀을 성과에 대한 보상이라고 오해하지 말아야한다.
동료를 향한 섭섭함
  내가 얼마나 괴로워 하는지 아무도 관심 없는 것 같아.
팀장님은 왜 자기 앞가림만 하고 나를 챙겨주지 않는 것일까?

            7:3 의 법칙(?)
           섭섭해 하지 말자.

   성장의 기회를 그저 시련이라고 생각하지 말자.

         동료와도 연애할 때 처럼…
미래에 대한 약속
          “나만 믿어.”
“이 프로젝트 끝나면 너 XX장 맡아서 일 해야지?”

  가장 쉽게 위선자로 오해 받는 길이다.
비전을 제시하는 것과 약속을 하는 것은 다르다.
  올바른 비전은 실패도 각오하게 하지만
 근거 없는 약속은 실패를 간과하게 만든다.
개인사 미루기
부모님께 거의 연락도 못하지만 일이 너무 많아서…
 고지서가 한다발 밀렸지만 패치가 코앞이라…

          “가화만사성”

마음의 짐을 덜어놓는 시간을 아깝게 생각하지 말자.
    극복 가능한 게으름인 경우도 많다.
권한과 역할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
   이 일을 지금 아무도 안 하고 있는데 내가 해도 괜찮은가?
이제부터 유닛장이 됐는데, 다음 달 유닛 목표 내가 잡아도 되는거야?
     기획이 부실한 상태인데 그냥 나올 때 까지 기다려?

      의외로 그냥 잘 하는 사람이 그냥 하면 된다.
잘 하는 사람에게 역할과 권한을 따지는 일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아티스트, 프로그래머, 게임 디자이너 이전에
          조직원 모두는 게임 개발자.
동료의 인생에 대한
        과도한 책임감
    내가 저 녀석을 어떻게 키웠는데 팀을 옮기고 싶다고?!
“계속 여기서 일 하면서 기회를 찾는 게 최선이야. 내가 챙겨줄게…”

         과도한 책임감을 담은 행동은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의 보답을 요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배신감을 느끼게 됨.

      진지하게 동료의 인생 고민에 동참하는 것과
  단순히 내 편을 만들고 싶은 욕심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과로
     성과가 모든 것을 증명해 주잖아?
내 스케줄이 길게 잡히는 것은 눈뜨고 볼 수 없어!
짧은 시간에 이렇게 많이 했냐는 칭찬을 듣고 싶다!

    관리자가 스케줄 관리를 할 수가 없다.
  결국에는 Burn out 상태에 빠지는 수도 있음.
과로로 인한 건강 악화는 누구도 보상해주지 못한다.

    무엇보다 몸이 안 좋으면 말짱 꽝…
돌아 보니
필요했던 것 들
자신감 있게 휴가 사용
“저 다음주 목요일과 금요일에 가족과 여행갑니다.”

눈치보면서 사용한 휴가는 쉬면서도 편하지 않다.
 계획적인 휴가 사용은 좋은 자기 관리 방법.

           그리고,
  계획적인 휴가를 눈치주는 사람 거의 없다.

         자신있게 쓰자.
접근성 있는 캐릭터 메이킹
   추잡스러운 언행으로 놀림을 받지만(욕을 먹지만)
    항상 당신들의 오해라고 발뺌하는 팀장 캐릭터

동료들이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두면 좋다.
      자신을 희화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
동료들이 자신을 유머 소재로 삼는 것을 나쁘게 생각하지 말자.
        물론 불쾌할 수준이면 안되고…
전문가라는 자신감
             I’m Pro.

   전문가가 되어야 자신감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자신감이 전문가가 되도록 만들어준다.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 공격적으로 공부하도록 도와준다.

        나는 전문가가 아니니까…
       하면서 도망치는 경우를 줄이자.
가까운 동료들의 성장
“내 주변에 나보다 뛰어난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조직의 역량 수준이 높아져야
     외부에서의 나에대한 평가도 높아진다.

 조직 역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사람은
      동료를 성장시킬 수 있는 사람이다.
주변의 동료들이 더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도와주자.
솔직한 발언
         “나 그거 잘 모르겠다. 가르쳐줘.”
     “그 부분 디자인이 이상해 보이는 것 같은데?”

  나의 솔직한 자세가 동료의 방어적인 자세를 허물 수 있다.

단, 동료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을 정도의 화술은 갖추도록 하자.
좋아하는 것을 늘려나가기
     첫 소개팅 자리를 생각해보자.
             :
             :

  나의 취미나 관심사의 범위가 풍부할수록
  동료들과의 밀접한 관계 형성이 잘 된다.

조직이 커져도 동료들과의 관심사 공유하기가 쉽다.
화가 나도 칭찬을 먼저 하기
              불심을 얻자.

            차분하게 생각해보면
  화를 내는 순간에는 동료의 실수 때문에 화를 낸다기 보다
업무로 인해 상한 기분을 풀고싶어서 화를 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대방에게 주의를 주더라도
 이야기를 들어주거나 칭찬을 해주는 것으로 대화를 시작하자.
      실수는 실수일 뿐 화를 낼 대상이 아니다.
불필요했던 것 들은?
    자책감
    불안감
    강박
     욕심
     과잉
    과로

 주변 동료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필요했던 것 들은?
     자신감
      휴식
      유머
      배려
     솔직함
     공감대

나 자신과 동료들 모두를
  편안하게 해준다.
되도록이면 오랫동안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
    이 되도록 합시다.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

김동건, 구세대 개발자의 신세대 플레이어를 위한 게임 만들기, NDC2011 by devCAT Studio, NEXON, has 102 slides with 5635 views.NDC 2011 키노트
김동건, 구세대 개발자의 신세대 플레이어를 위한 게임 만들기, NDC2011김동건, 구세대 개발자의 신세대 플레이어를 위한 게임 만들기, NDC2011
김동건, 구세대 개발자의 신세대 플레이어를 위한 게임 만들기, NDC2011
devCAT Studio, NEXON
102 slides5.6K views
게임 스토리 텔링이란 by sinnoske, has 118 slides with 8514 views.게임스토리 텔링의 차별성에 대한 이야기
게임 스토리 텔링이란게임 스토리 텔링이란
게임 스토리 텔링이란
sinnoske
118 slides8.5K views
NDC2013 - 심리학으로 다시 보는 게임 디자인 by Jubok Kim, has 73 slides with 26166 views.
NDC2013 - 심리학으로 다시 보는 게임 디자인NDC2013 - 심리학으로 다시 보는 게임 디자인
NDC2013 - 심리학으로 다시 보는 게임 디자인
Jubok Kim
73 slides26.2K views
【Unity道場】AssetGraph入門 〜ノードを駆使しててUnityの面倒な手作業を自動化する方法〜 by Unity Technologies Japan K.K., has 79 slides with 34693 views.Unityでゲームを作る過程で、アセットの設定変更やPrefabの構築、任意のオブジェクト処理などに多くの時間を取られます。そこでエディター拡張による自動化が活躍する訳ですが、専用のスクリプトを構築する必要が出てきたりと、正直面倒・・・そんな不満をお持ちの皆さん向けに、Unity(公式)の開発した汎用アセット操作ツールAsset Graphの使い方やTipsを紹介します!
【Unity道場】AssetGraph入門 〜ノードを駆使しててUnityの面倒な手作業を自動化する方法〜【Unity道場】AssetGraph入門 〜ノードを駆使しててUnityの面倒な手作業を自動化する方法〜
【Unity道場】AssetGraph入門 〜ノードを駆使しててUnityの面倒な手作業を自動化する方法〜
Unity Technologies Japan K.K.
79 slides34.7K views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by devCAT Studio, NEXON, has 69 slides with 16426 views.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devCAT Studio, NEXON
69 slides16.4K views
[NDC 2021] 게임 PD가 되어 보니 by Yongha Kim, has 88 slides with 3141 views.저는 운 좋게도 게임 PD로서 지난 10년 동안 몇 개의 게임을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경험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제가 그동안 개발했던 게임들을 간단히 돌아보고, 개발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통해 배운 것들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이라 편향이 있을 수 있겠지만, 게임 PD나 디렉터 커리어를 목표로 하시는 분들께 참고가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NDC 2021] 게임 PD가 되어 보니[NDC 2021] 게임 PD가 되어 보니
[NDC 2021] 게임 PD가 되어 보니
Yongha Kim
88 slides3.1K views
프로그래머에게 사랑받는 게임 기획서 작성법 by Lee Sangkyoon (Kay), has 93 slides with 146617 views.IGC2015 에서 강연한 자료입니다. 프로그래머와 게임 기획자(Game Designer) 양쪽을 모두 이해하는 입장에서 기획서를 다루는 조금 파격적인 방법론과 프로그래머와 소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프로그래머에게 사랑받는 게임 기획서 작성법프로그래머에게 사랑받는 게임 기획서 작성법
프로그래머에게 사랑받는 게임 기획서 작성법
Lee Sangkyoon (Kay)
93 slides146.6K views
자동화된 소스 분석, 처리, 검증을 통한 소스의 불필요한 #if - #endif 제거하기 NDC2012 by Esun Kim, has 98 slides with 20935 views.
자동화된 소스 분석, 처리, 검증을 통한 소스의 불필요한 #if - #endif 제거하기 NDC2012자동화된 소스 분석, 처리, 검증을 통한 소스의 불필요한 #if - #endif 제거하기 NDC2012
자동화된 소스 분석, 처리, 검증을 통한 소스의 불필요한 #if - #endif 제거하기 NDC2012
Esun Kim
98 slides20.9K views
190119 unreal engine c++ 입문 및 팁 by KWANGIL KIM, has 42 slides with 4915 views.190119 데브루키 서브 스터디 - 언리얼 스터디에서 발표한 자료 Unreal Engine 4 C++ 입문 및 팁.
190119 unreal engine c++ 입문 및 팁190119 unreal engine c++ 입문 및 팁
190119 unreal engine c++ 입문 및 팁
KWANGIL KIM
42 slides4.9K views
마비노기듀얼 이야기-넥슨 김동건 by 강 민우, has 42 slides with 2094 views.마비노기듀얼 이야기-넥슨 김동건
마비노기듀얼 이야기-넥슨 김동건마비노기듀얼 이야기-넥슨 김동건
마비노기듀얼 이야기-넥슨 김동건
강 민우
42 slides2.1K views
게임 디렉팅 튜토리얼 by Lee Sangkyoon (Kay), has 108 slides with 30151 views.블루홀 개발자 컨퍼런스, 청강대 특강, 창조경제혁신센터 게임 아카데미 등에서 진행했던 "게임 디렉팅 튜토리얼"의 강의 슬라이드입니다. 3~4년차 게임 개발자와 소규모 게임 개발팀의 리더를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노하우에 대한 자료입니다.
게임 디렉팅 튜토리얼게임 디렉팅 튜토리얼
게임 디렉팅 튜토리얼
Lee Sangkyoon (Kay)
108 slides30.2K views
NDC 2017 키노트: 이은석 -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게임개발 by Eunseok Yi, has 98 slides with 52189 views.NDC 2017 키노트 발표 슬라이드
NDC 2017 키노트: 이은석 -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게임개발NDC 2017 키노트: 이은석 -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게임개발
NDC 2017 키노트: 이은석 -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게임개발
Eunseok Yi
98 slides52.2K views
NDC 2014 이은석 - 온라인 게임의 창발적 플레이 디자인 by Eunseok Yi, has 115 slides with 27673 views.NDC 2014 이은석 - 온라인 게임의 창발적 플레이 디자인 - 야생의 땅: 듀랑고의 사례와 함께 Nexon Developer Conference 2014 에서 발표에 사용한 슬라이드입니다. 강연 영상은 http://www.youtube.com/watch?v=jaZ-sM46R60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NDC 2014 이은석 - 온라인 게임의 창발적 플레이 디자인NDC 2014 이은석 - 온라인 게임의 창발적 플레이 디자인
NDC 2014 이은석 - 온라인 게임의 창발적 플레이 디자인
Eunseok Yi
115 slides27.7K views
[NDC 2014] 모에론 by Yongha Kim, has 67 slides with 160562 views.동양권 서브컬쳐씬에서 매력적인 캐릭터를 지칭하는 대표적인 개념으로 '모에(萌え)'라는 것이 있다. '모에'란 무엇인가? 어떤 캐릭터를 '모에'하다고 볼 수 있는가? '모에'한 캐릭터를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본 슬라이드는 다양한 예를 통해 '모에'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NDC 2014] 모에론[NDC 2014] 모에론
[NDC 2014] 모에론
Yongha Kim
67 slides160.6K views
뉴비라이터를 위한 게임라이팅 일반론 by sinnoske, has 185 slides with 3122 views.NDC2012
뉴비라이터를 위한 게임라이팅 일반론뉴비라이터를 위한 게임라이팅 일반론
뉴비라이터를 위한 게임라이팅 일반론
sinnoske
185 slides3.1K views
게임 프로그래밍 기초 공부법 by Chris Ohk, has 61 slides with 60680 views.KSIA 내부 강연회를 위해 작성한 발표 자료. 게임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려고 하는 지망생들에게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간단히 정리해 봤다.
게임 프로그래밍 기초 공부법게임 프로그래밍 기초 공부법
게임 프로그래밍 기초 공부법
Chris Ohk
61 slides60.7K views
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을 소개합니다. by Kwangsung Ha, has 27 slides with 50573 views."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 모임을 소개합니다. 백문이 불여일런, 트라이얼앤에러(Trial and Error) 식의 몹쓸 교육을 받아 온 개발자들이 코딩하기 전에 신중하고 꼼꼼하게 생각해보기란 쉽지 않습니다. 개발 시간 중 디버깅 시간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에 버그를 줄이기 위해 TDD니 유닛테스트니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가장 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개발자들이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아니겠는지요? 미국의 선진 SW회사들은 이미 화이트보드에 PS문제를 푸는 것을 인터뷰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와 같은 풀이 방식이 개발자들의 기본 역량을 측정하기에 알맞은 지표라는 것이고, 개발자들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역량이기도 하다는 것 입니다. 또한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Communication Skill 도 개발자가 갖춰야 할 역량 중 하나 입니다. 알고리즘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를 팀원들과 소통하면서 자연스럽게 생각을 정리하고 전달하는 연습도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 앉아 코딩하기 전 펜과 종이를 들고 눈과 머리와 손을 굴려 보시는 것은 어떠신지요??
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을 소개합니다.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을 소개합니다.
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을 소개합니다.
Kwangsung Ha
27 slides50.6K views
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 by Jubok Kim, has 102 slides with 30847 views.
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
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
Jubok Kim
102 slides30.8K views
NDC2013 - 심리학으로 다시 보는 게임 디자인 by Jubok Kim, has 73 slides with 26166 views.
NDC2013 - 심리학으로 다시 보는 게임 디자인NDC2013 - 심리학으로 다시 보는 게임 디자인
NDC2013 - 심리학으로 다시 보는 게임 디자인
Jubok Kim
73 slides26.2K views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by devCAT Studio, NEXON, has 69 slides with 16426 views.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devCAT Studio, NEXON
69 slides16.4K views
자동화된 소스 분석, 처리, 검증을 통한 소스의 불필요한 #if - #endif 제거하기 NDC2012 by Esun Kim, has 98 slides with 20935 views.
자동화된 소스 분석, 처리, 검증을 통한 소스의 불필요한 #if - #endif 제거하기 NDC2012자동화된 소스 분석, 처리, 검증을 통한 소스의 불필요한 #if - #endif 제거하기 NDC2012
자동화된 소스 분석, 처리, 검증을 통한 소스의 불필요한 #if - #endif 제거하기 NDC2012
Esun Kim
98 slides20.9K views
뉴비라이터를 위한 게임라이팅 일반론 by sinnoske, has 185 slides with 3122 views.NDC2012
뉴비라이터를 위한 게임라이팅 일반론뉴비라이터를 위한 게임라이팅 일반론
뉴비라이터를 위한 게임라이팅 일반론
sinnoske
185 slides3.1K views
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을 소개합니다. by Kwangsung Ha, has 27 slides with 50573 views."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 모임을 소개합니다. 백문이 불여일런, 트라이얼앤에러(Trial and Error) 식의 몹쓸 교육을 받아 온 개발자들이 코딩하기 전에 신중하고 꼼꼼하게 생각해보기란 쉽지 않습니다. 개발 시간 중 디버깅 시간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에 버그를 줄이기 위해 TDD니 유닛테스트니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가장 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개발자들이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아니겠는지요? 미국의 선진 SW회사들은 이미 화이트보드에 PS문제를 푸는 것을 인터뷰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와 같은 풀이 방식이 개발자들의 기본 역량을 측정하기에 알맞은 지표라는 것이고, 개발자들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역량이기도 하다는 것 입니다. 또한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Communication Skill 도 개발자가 갖춰야 할 역량 중 하나 입니다. 알고리즘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를 팀원들과 소통하면서 자연스럽게 생각을 정리하고 전달하는 연습도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 앉아 코딩하기 전 펜과 종이를 들고 눈과 머리와 손을 굴려 보시는 것은 어떠신지요??
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을 소개합니다.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을 소개합니다.
손코딩뇌컴파일눈디버깅을 소개합니다.
Kwangsung Ha
27 slides50.6K views
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 by Jubok Kim, has 102 slides with 30847 views.
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
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
Jubok Kim
102 slides30.8K views

Similar to 김충효, 10년째 같은 회사를 다니고 있습니다 (20)

[15.06.20] 네가 누구든, 내가 뭘하든 - DevRookie by 해강 , has 116 slides with 1800 views.데브루키 발표
[15.06.20] 네가 누구든, 내가 뭘하든 - DevRookie[15.06.20] 네가 누구든, 내가 뭘하든 - DevRookie
[15.06.20] 네가 누구든, 내가 뭘하든 - DevRookie
해강
116 slides1.8K views
GameParadiso Guide 2021.9.5 by GameParadiso, has 72 slides with 1052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GameParadiso Guide 2021.9.5GameParadiso Guide 2021.9.5
GameParadiso Guide 2021.9.5
GameParadiso
72 slides1.1K views
GameParadiso Guide 2020.1.15 by GameParadiso, has 54 slides with 59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GameParadiso Guide 2020.1.15GameParadiso Guide 2020.1.15
GameParadiso Guide 2020.1.15
GameParadiso
54 slides59 views
GameParadiso Guide 2019.12.2 by GameParadiso, has 51 slides with 66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GameParadiso Guide 2019.12.2GameParadiso Guide 2019.12.2
GameParadiso Guide 2019.12.2
GameParadiso
51 slides66 views
GameParadiso Guide 2020.2.27 by GameParadiso, has 56 slides with 297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GameParadiso Guide 2020.2.27GameParadiso Guide 2020.2.27
GameParadiso Guide 2020.2.27
GameParadiso
56 slides297 views
GameParadiso Guide 2020.5.24 by GameParadiso, has 60 slides with 350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GameParadiso Guide 2020.5.24GameParadiso Guide 2020.5.24
GameParadiso Guide 2020.5.24
GameParadiso
60 slides350 views
GameParadiso Guide 2019.7.26 by GameParadiso, has 49 slides with 350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GameParadiso Guide 2019.7.26GameParadiso Guide 2019.7.26
GameParadiso Guide 2019.7.26
GameParadiso
49 slides350 views
[인액터스] Leap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청년기업가정신 by thecirclefoundation, has 35 slides with 1623 views.LEAP 역량강화교육 자료 - 청년기업가정신 액겔러레이팅 프로그램
[인액터스] Leap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청년기업가정신[인액터스] Leap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청년기업가정신
[인액터스] Leap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청년기업가정신
thecirclefoundation
35 slides1.6K views
GameParadiso Guide 2020.9.6 by GameParadiso, has 68 slides with 271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https://www.youtube.com/watch?v=vb1fKjmpHIg&list=PLR_u0ELZtEQ4N20DpHvTU0mu21Mp8w0tU
GameParadiso Guide 2020.9.6GameParadiso Guide 2020.9.6
GameParadiso Guide 2020.9.6
GameParadiso
68 slides271 views
GameParadiso Guide 2021.6.14 by GameParadiso, has 70 slides with 855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https://www.youtube.com/watch?v=vb1fKjmpHIg&list=PLR_u0ELZtEQ4N20DpHvTU0mu21Mp8w0tU
GameParadiso Guide 2021.6.14GameParadiso Guide 2021.6.14
GameParadiso Guide 2021.6.14
GameParadiso
70 slides855 views
GameParadiso Guide 2020.7.20 by GameParadiso, has 64 slides with 265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https://www.youtube.com/watch?v=vb1fKjmpHIg&list=PLR_u0ELZtEQ4N20DpHvTU0mu21Mp8w0tU
GameParadiso Guide 2020.7.20GameParadiso Guide 2020.7.20
GameParadiso Guide 2020.7.20
GameParadiso
64 slides265 views
GameParadiso Guide 2020.10.20 by GameParadiso, has 70 slides with 857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https://www.youtube.com/watch?v=vb1fKjmpHIg&list=PLR_u0ELZtEQ4N20DpHvTU0mu21Mp8w0tU
GameParadiso Guide 2020.10.20GameParadiso Guide 2020.10.20
GameParadiso Guide 2020.10.20
GameParadiso
70 slides857 views
20150328 e xsalon발표2_UX디자이너 왜 살아남기 어려운가 by SANGBUM HA, has 65 slides with 2679 views.지난 3월 28일 공유했던 자료입니다. 공유 요청이 있어서 시간이 좀 지났지만 업로드합니다.
20150328 e xsalon발표2_UX디자이너 왜 살아남기 어려운가20150328 e xsalon발표2_UX디자이너 왜 살아남기 어려운가
20150328 e xsalon발표2_UX디자이너 왜 살아남기 어려운가
SANGBUM HA
65 slides2.7K views
GameParadiso Guide 2019.3.19 by GameParadiso, has 48 slides with 661 views.이 문서는 게임파라디소가 추구해야 할 개발문화와 큰 목표를 공유하기 위함
GameParadiso Guide 2019.3.19GameParadiso Guide 2019.3.19
GameParadiso Guide 2019.3.19
GameParadiso
48 slides661 views
Startupzigzag by Yoojin Lee, has 69 slides with 2015 views.안녕하세요. 지그재그의 이유진이라고 합니다. 제 스타트업, 지그재그 이직기를 담았습니다. 스타트업으로의 취업이나 이직을 원하시는 분들을 위한 아주 별것 아닌 사소한 팁도 담아보았습니다 :-) 지그재그에서도 계속해서 활발한 채용이 진행중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주세요! http://career.zigzag.kr http://facebook.com/lee365
StartupzigzagStartupzigzag
Startupzigzag
Yoojin Lee
69 slides2K views
직장인경쟁력강화방법 by 인태 박, has 29 slides with 1473 views.직장생활의 에티켓
직장인경쟁력강화방법직장인경쟁력강화방법
직장인경쟁력강화방법
인태 박
29 slides1.5K views
직장인 서바이벌 - 성공으로 이끄는 태도 by youngkang_design, has 55 slides with 3292 views.Women TechMakers 2019 Seoul 행사에서 발표한 발표자료를 공유합니다.
직장인 서바이벌 - 성공으로 이끄는 태도직장인 서바이벌 - 성공으로 이끄는 태도
직장인 서바이벌 - 성공으로 이끄는 태도
youngkang_design
55 slides3.3K views
시작하는 HR을 위해 (HR인, 직장인으로서의 자세에 대해) by dcjin, has 35 slides with 9431 views.이 문서는 제가 HR업무를 수행하면서 느끼고 생각한 것을 제 블로그 (dailydream.tistory.com)에 포스팅했던 글들을 저희 팀에 합류한 신입사원에게 들려주기 위해 묶은 것입니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구체적인 회사나 사례 정보는 없으며 개인적인 소견만 담겨져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시작하는 HR을 위해 (HR인, 직장인으로서의 자세에 대해)시작하는 HR을 위해 (HR인, 직장인으로서의 자세에 대해)
시작하는 HR을 위해 (HR인, 직장인으로서의 자세에 대해)
dcjin
35 slides9.4K views

More from devCAT Studio, NEXON (20)

이봄, 스토리텔링으로 즐기는 콘서트 - 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TRPG의 세계, NDC2019 by devCAT Studio, NEXON, has 50 slides with 2433 views.
이봄, 스토리텔링으로 즐기는 콘서트 - 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TRPG의 세계, NDC2019이봄, 스토리텔링으로 즐기는 콘서트 - 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TRPG의 세계, NDC2019
이봄, 스토리텔링으로 즐기는 콘서트 - 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TRPG의 세계, NDC2019
devCAT Studio, NEXON
50 slides2.4K views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by devCAT Studio, NEXON, has 78 slides with 1684 views.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devCAT Studio, NEXON
78 slides1.7K views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by devCAT Studio, NEXON, has 46 slides with 7744 views.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devCAT Studio, NEXON
46 slides7.7K views
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 by devCAT Studio, NEXON, has 35 slides with 1368 views.
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
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
devCAT Studio, NEXON
35 slides1.4K views
이봄, 스토리텔링으로 즐기는 콘서트 - 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TRPG의 세계, NDC2019 by devCAT Studio, NEXON, has 50 slides with 2433 views.
이봄, 스토리텔링으로 즐기는 콘서트 - 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TRPG의 세계, NDC2019이봄, 스토리텔링으로 즐기는 콘서트 - 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TRPG의 세계, NDC2019
이봄, 스토리텔링으로 즐기는 콘서트 - 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TRPG의 세계, NDC2019
devCAT Studio, NEXON
50 slides2.4K views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by devCAT Studio, NEXON, has 78 slides with 1684 views.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devCAT Studio, NEXON
78 slides1.7K views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by devCAT Studio, NEXON, has 46 slides with 7744 views.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devCAT Studio, NEXON
46 slides7.7K views

김충효, 10년째 같은 회사를 다니고 있습니다

  • 1. 10년째 같은 회사를 다니고 있습니다 NEXON 신규개발 3본부 1실 devCAT 김충효
  • 2. 김충효 KIM CHOONG HYO 2001년 넥슨 입사 : 2010년 신규개발 3본부 1실 부실장 마비노기2 팀장 11월 12일 결혼
  • 3. 한 조직에서만 사회생활 10년차 devCAT 에서 죽… 10년째 마비노기 제작 중.
  • 4. 거의 초등학교 + 중학교 다닌 기간 3년만 더 다니면 고졸…
  • 5. 10년 동안의 직무 변화?
  • 6. Noob 캐릭터 모델러 애니메이터 배경 모델러 월드 빌더 이펙트 아티스트 캐릭터 리거 테크니컬 아티스트 아트 디렉터 테크니컬 아트 디렉터 아트 직군 위원장
  • 7. 10년 동안의 일의 변화?
  • 8. 실무 동료들의 작업 검수 스케줄 관리 개발 통합 파이프라인 개선 팀원 교육 팀원 평가 상담 면접
  • 9. 10년 동안의 직책 변화?
  • 10. 수습 정사원 주임 유닛장 파트장 부실장 팀장
  • 11. 10년 동안의 입장 변화?
  • 12. 일을 받아서 직접 하는 입장
  • 13.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아서 ! 지시하기도 하는 입장
  • 14.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아서 지시하기도 하는 입장
  • 15.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아서 지시하기도 하고 ! 검수도 하는 입장
  • 16.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아서 지시하기도 하고 검수도 하는 입장
  • 17.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거나 지시하기도 하고 ! 검수도 하는 입장 일을 만들어서
  • 18. 직접 하기도 하고 일을 받거나 지시하기도 하고 Now … 일을 만들어서 검수도 하는 입장
  • 19. 일을 받거나 ? 직접 하기도 하고 ? ? ? 지시하기도 하고 일을 만들어서 ? 검수도 하는 입장
  • 20. 아직은 고작 10년이지만… 나름대로는 급격한 변화를 경험
  • 21. 하는 일과 입장, 위치… 등의 변화를 통해서 동료들과의 관계도 변화함
  • 22. 이전의 내 포지션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많았음 거꾸로, 바라보던 포지션에서 직접 일을 해볼 기회도 많았다.
  • 23. 돌아 보니 불필요했던 것
  • 24. 퍼포먼스에 대한 자책감 슬럼프가 왔나… 도저히 일이 손에 안 잡히는데, 아아… 내가 왜 이럴까. 내가 이것밖에 안 되는 것일까. 내 실력이 생각보다 떨어져서 다들 날 싫어하겠지? 슬럼프가 과연 누군가에게 혼나야 하는 일인가? 자기 관리가 중요하지만 누구에게나 기복은 있다. 우리는 생각보다 동료의 슬럼프에 관대하다. 그리고, 대부분은 일의 난이도 예측 실패가 원인 자책감으로 어두운 오라를 풍기지 말고 긍정적인 방향을 찾자.
  • 25. 나의 부재에 대한 불안감 내가 없을 때 업무에 이상이 생기면 어쩌지? 책임지고 미리 싹 준비한 뒤에 자리를 비워야 하는 것 아닌가? 돌아와서 욕먹으면 어쩌지? 당신이 없어도 의외로 괜찮다!! 내가 없어도 일 잘만 된다(되더라). 그리고, 자리 비운지도 모른다… 내가 없어서 안 될 일은 적당히 준비해서 진행될리도 없다.
  • 26. 일이 나의 전부 일이 잘 안되면 내 인생이 글러먹은 것 같은 기분이 든단말이야… 프로젝트 헌신도가 낮아 보이는 팀원에 대해서 불필요한 적개심이 생기는 수도 있다. 나이를 먹으면서 생각이 바뀔 경우 혼란을 겪을 수도 있다. (사람은 사회생활 시작한 뒤로도 계속 철이 든다.)
  • 27. 전부 내 손으로 만든 것 만이 내 작품이다라는 강박 “내 손이 닿지 않은 것은 내 ‘작품’이 아니야.” “비록 팀으로 일 했지만 이 게임은 내가 만든 게임이라고 할 수는 없지.” 자신감의 결여가 원인일 수 있다. 작업자간 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혼자서 150% 하는 사람보다 모두가 20%씩 더 효율을 낼 수 있게 하는 사람이 조직에 더 도움이 된다.
  • 28. 직책 타이틀 욕심 왜 나보다 늦게 들어온 사람이 직책자가 된 것이지? 회사가 보상을 잘 안 해주는 것 같다… 직책은 조직 내에서의 역할을 의미하는 것이지 높낮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직책 타이틀을 성과에 대한 보상이라고 오해하지 말아야한다.
  • 29. 동료를 향한 섭섭함 내가 얼마나 괴로워 하는지 아무도 관심 없는 것 같아. 팀장님은 왜 자기 앞가림만 하고 나를 챙겨주지 않는 것일까? 7:3 의 법칙(?) 섭섭해 하지 말자. 성장의 기회를 그저 시련이라고 생각하지 말자. 동료와도 연애할 때 처럼…
  • 30. 미래에 대한 약속 “나만 믿어.” “이 프로젝트 끝나면 너 XX장 맡아서 일 해야지?” 가장 쉽게 위선자로 오해 받는 길이다. 비전을 제시하는 것과 약속을 하는 것은 다르다. 올바른 비전은 실패도 각오하게 하지만 근거 없는 약속은 실패를 간과하게 만든다.
  • 31. 개인사 미루기 부모님께 거의 연락도 못하지만 일이 너무 많아서… 고지서가 한다발 밀렸지만 패치가 코앞이라… “가화만사성” 마음의 짐을 덜어놓는 시간을 아깝게 생각하지 말자. 극복 가능한 게으름인 경우도 많다.
  • 32. 권한과 역할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 이 일을 지금 아무도 안 하고 있는데 내가 해도 괜찮은가? 이제부터 유닛장이 됐는데, 다음 달 유닛 목표 내가 잡아도 되는거야? 기획이 부실한 상태인데 그냥 나올 때 까지 기다려? 의외로 그냥 잘 하는 사람이 그냥 하면 된다. 잘 하는 사람에게 역할과 권한을 따지는 일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아티스트, 프로그래머, 게임 디자이너 이전에 조직원 모두는 게임 개발자.
  • 33. 동료의 인생에 대한 과도한 책임감 내가 저 녀석을 어떻게 키웠는데 팀을 옮기고 싶다고?! “계속 여기서 일 하면서 기회를 찾는 게 최선이야. 내가 챙겨줄게…” 과도한 책임감을 담은 행동은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의 보답을 요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배신감을 느끼게 됨. 진지하게 동료의 인생 고민에 동참하는 것과 단순히 내 편을 만들고 싶은 욕심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 34. 과로 성과가 모든 것을 증명해 주잖아? 내 스케줄이 길게 잡히는 것은 눈뜨고 볼 수 없어! 짧은 시간에 이렇게 많이 했냐는 칭찬을 듣고 싶다! 관리자가 스케줄 관리를 할 수가 없다. 결국에는 Burn out 상태에 빠지는 수도 있음. 과로로 인한 건강 악화는 누구도 보상해주지 못한다. 무엇보다 몸이 안 좋으면 말짱 꽝…
  • 35. 돌아 보니 필요했던 것
  • 36. 자신감 있게 휴가 사용 “저 다음주 목요일과 금요일에 가족과 여행갑니다.” 눈치보면서 사용한 휴가는 쉬면서도 편하지 않다. 계획적인 휴가 사용은 좋은 자기 관리 방법. 그리고, 계획적인 휴가를 눈치주는 사람 거의 없다. 자신있게 쓰자.
  • 37. 접근성 있는 캐릭터 메이킹 추잡스러운 언행으로 놀림을 받지만(욕을 먹지만) 항상 당신들의 오해라고 발뺌하는 팀장 캐릭터 동료들이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두면 좋다. 자신을 희화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 동료들이 자신을 유머 소재로 삼는 것을 나쁘게 생각하지 말자. 물론 불쾌할 수준이면 안되고…
  • 38. 전문가라는 자신감 I’m Pro. 전문가가 되어야 자신감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자신감이 전문가가 되도록 만들어준다.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 공격적으로 공부하도록 도와준다. 나는 전문가가 아니니까… 하면서 도망치는 경우를 줄이자.
  • 39. 가까운 동료들의 성장 “내 주변에 나보다 뛰어난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조직의 역량 수준이 높아져야 외부에서의 나에대한 평가도 높아진다. 조직 역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사람은 동료를 성장시킬 수 있는 사람이다. 주변의 동료들이 더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도와주자.
  • 40. 솔직한 발언 “나 그거 잘 모르겠다. 가르쳐줘.” “그 부분 디자인이 이상해 보이는 것 같은데?” 나의 솔직한 자세가 동료의 방어적인 자세를 허물 수 있다. 단, 동료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을 정도의 화술은 갖추도록 하자.
  • 41. 좋아하는 것을 늘려나가기 첫 소개팅 자리를 생각해보자. : : 나의 취미나 관심사의 범위가 풍부할수록 동료들과의 밀접한 관계 형성이 잘 된다. 조직이 커져도 동료들과의 관심사 공유하기가 쉽다.
  • 42. 화가 나도 칭찬을 먼저 하기 불심을 얻자. 차분하게 생각해보면 화를 내는 순간에는 동료의 실수 때문에 화를 낸다기 보다 업무로 인해 상한 기분을 풀고싶어서 화를 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대방에게 주의를 주더라도 이야기를 들어주거나 칭찬을 해주는 것으로 대화를 시작하자. 실수는 실수일 뿐 화를 낼 대상이 아니다.
  • 43. 불필요했던 것 들은? 자책감 불안감 강박 욕심 과잉 과로 주변 동료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 44. 필요했던 것 들은? 자신감 휴식 유머 배려 솔직함 공감대 나 자신과 동료들 모두를 편안하게 해준다.
  • 45. 되도록이면 오랫동안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 이 되도록 합시다.
  • 4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