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기 감사원장 후보 부정적 여론 급속 확산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에 대한 '부적격'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로펌으로부터 월 1억원에 달하는 고액급여를 받은 것도 정서적인 거부감을 갖게 하지만, 그것보다 이 돈이 로펌의 정·관계 인맥을 넓히기 위한 '투자' 아니었느냐는 의심이 짙어지면서부터다.
1억 월급 거부감 늘어
선진당 자진사퇴 촉구
이는 정 후보자의 급여가 대통령직 인수위 법무·행정분과에 참여한 직후 두배 이상 늘어났기 때문이다.
정 후보자는 대검찰청 차장에서 물러난 지 사흘 만인 2007년 11월26일 법무법인 '바른' 대표변호사로 자리를 옮겼고, 이날부터 12월31일까지 급여는 4천600만원이었다.
하지만 대통령직 인수위에 합류한 직후인 이듬해 1월부터 청와대 민정수석이 되기 전인 6월20일까지 6개월간 급여는 모두 6억5343만원으로 이전보다 2.5배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박선숙 의원은 "전관예우 차원을 넘어 정 후보자가 인수위에 들어가면서 두 배로 뛴 보수가 어떤 성격의 것인지 본인도 알고 누구나 알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액급여에 대해 3억여원의 세금을 납부했다는 정 후보자의 해명도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은 7일 해명자료를 통해 "정밀하게 계산한 결과 총급여 6억9천900만원 중 세금은 2억2천900만원이며, 실수령액은 총 4억5천700만원"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일부 언론은 8일 정 후보자의 석·박사 학위취득 과정도 석연치않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보수 성향인 자유선진당까지 정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박선영 자유선진당 대변인은 "검찰 시절 도곡동땅 무혐의로 대통령직 창출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고, 그 덕에 대통령 최측근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독립성이 생명인 감사원장으론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여당 내에서도 부정적 언급이 늘고 있다.
한나라당 소장개혁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도 7일 "정 후보자의 경력을 볼 때 감사원의 독립성, 중립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우려가 된다"는 의견을 모았다. 전창훈 기자